우리나라는 60년대 이후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 산업사회로 넘어가면서 대가족 중심의 농경사회가 무너지고 농어촌을 떠나지 못한 농어민들은 현재 노인인구가 되어 젊은이가 없는 농어촌에서 생산활동을 유지하면서 남아 있게 되었ㄱ, 빠른 도시화 추세로 대다수의 가족이 핵가족화되었고, 생활양식이 변한 도시는 도시대로 노후를 어렵게 살아가는 노인들이 줄어만 가고 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소득상실로 인한 빈곤문제, 노화에 따른 육체적 및 정신적 건강악화 문제, 소외문제, 사회적 역할 상실 문제 등이 노인에게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많은 노인들이 경제적 지지수단 없이 고령으로 살고 있다. 노령은 현재 사회문제로 되고 있다. 20세기 후반에 노인에 대한 사회적 견해는 양가감정적이었다. 문헌이나 정책, 사회정책 면에서는..